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IOS
- 스위프트
- persistence
- 콜드픽스
- Swift
- dfs
- 알고리즘
- 빗버켓
- WWDC
- 24
- JSON
- atlasian
- scenedelegate
- BFS
- om-4ti
- 옆집
- infoplist
- 애러처리
- httpcookie
- wwdc24\
- 데이터장소
- 쿠키
- 빝버켓
- decidepolicyfor
- 연결
- 2024
- swiftdata
- 데이터구조
- navigationaction
- xcode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테이블 (1)
내가 iOS 개-발자라니.
옆집 스위프트: 1-7) 데이터 구조 - 해시 테이블과 해시 함수(Hash)
오늘은 딕셔너리 타입 해시 테이블에 대해서! 7. 해시 테이블과 해시 함수(Hash)해시함수: 입력(또는 키)을 받아 고정 크기의 문자 문자열을 생성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으로, 이는 해시된 값을 나타낸다. 해시 함수의 주요 목표는 충돌을 최소화하기위해 사용 가능한 배열 위치에 키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.분할 메서드: 키를 해시 테이블의 크기(m)로 나누고 나머지를 해시 값으로 사용한다. 해시 테이블의 크기가 소수일 때 잘 작동한다. hashValue = key % m곱셈 메서드: 일정한 배수(A)를 키와 곱하고, 결과의 소수 부분을 해시 값으로 사용한다. 곱셈 메서드는 분할 메서드보다 키의 더 균일한 분포를 제공한다. hashValue = floor(m * (key * A % 1))폴딩 메서드: 키..
This is da(大) SWIFT
2025. 3. 18. 16:13